결국 해내면 그만이다. 책 앞날개의 글이 기억에 남는 책, 표지 사진은 어떤 의미일까 궁금해지는 책, 좋은 글귀, 마음에 와닿는 글이 좋았던 책입니다. 가볍게 읽을 수 있는, 하지만 마음속 깊은 위로를 주는 책, <결국 해내면 그만이다>입니다.
결국 해내면 그만이다
결국 해내면 그만이다
정영욱 지음
저는 책을 읽을 때 책 앞날개 부분도 빼놓지 않고 보는 편입니다. 보통은 저자 소개 글이 쓰여있죠. 이 책도 마찬가지로 앞날개에 저자를 소개하는 글이 있는데요. 그보다 먼저 이런 문장이 있더라고요.
어떤 문장에서 나오는 힘은
쓰는 이보다도 읽는 이에게서 비롯된다는 것을 믿는다.
펼친 당신이 있기에 이 책이 빛나기를 바란다.
저자가 쓴 글일까요. 아무튼 이 부분을 보고 예전 생각이 났습니다.
아주아주 옛날~ 학창 시절 국어시간.
시나 소설 같은 교과서에 실린 문학작품을 보면서 선생님의 설명을 듣습니다. 작품이 쓰인 시대적 배경, 문법적인 부분 설명, 문장의 속뜻, 문단의 내용이 말하는 주제 등등 선생님께서 설명하면 열심히 받아 적었었죠.
그런데 이런 생각이 들더라고요. 문학작품을 보고 느끼는 바는 사람마다 다를 수 있는데 우리는 선생님의 설명이나 자습서의 해설에 따라 모두 똑같이 느끼고 생각해야 하는 걸까... 시험문제의 답은 정해져 있으니 우리는 그저 작품의 해설을 읽고 외우고 받아들이고... 그 시절엔 사실 책을 그리 열심히 읽는 학생은 아니어서 이런 생각도 지금에 와서 드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하나의 작품을 같은 사람이 읽는다 해도 언제, 어떤 상황에서, 어떤 기분으로 읽느냐에 따라 그 감상은 다 달라질 것 같습니다. 하물며 생각이 다르고 배경이 다른 사람들이 받아들이는 것도 저마다 다 다르겠죠.
독서 모임, 독서 토론.. 이런 걸 해보지는 않았지만 하나의 책을 두고 각각의 감상평을 듣는 것도 재미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어떤 글은 읽는 사람에 따라 더 크게 와닿기도 할 것이고 자기만의 해석과 느낌을 갖게 될 수도 있을 테고 말이죠.
<결국 해내면 그만이다>도 누가, 어떤 마음으로 이 책을 읽느냐에 따라 더 공감하기도 하고, 더 마음에 와닿는 내용도 있을 겁니다. 보편적인 위로도 좋고, 지금 내 상황과 마음을 알고 있는 듯한 다정한 말도 좋네요.
결국 해내면 그만이다 - 좋았던 부분
이 책에서 특히 좋았던 부분의 소제목을 써보면요.
흔들리는 나를 안정시켜 주는 인생관 / 엄마의 말 / 인간관계가 어렵게 느껴질 때 다짐했던 것들 / 나도 나로 살아가는 게 처음이라서 / 내가 잘 살고 있다는 것을 내가 모를 때 / 능력에 따른 총량의 법칙 정도입니다.
누구나 살면서 어렵고 힘든 시간을 겪습니다. 이런 시간들이 쌓이고 쌓여 지금의 내가 되고 먼 훗날 더 멋진 내가 되는 것이겠죠. 하지만 그 당시에는 세상 모든 힘든 짐은 다 내가 진 것만 같은 기분이 들기도 합니다. 나만 힘들고 나만 뒤처지는 것 같은. 이럴 때 위로가 되는 글귀가 도움이 됩니다.
내 삶은 나만이 책임질 수 있는 것이기에 값진 것, 잘난 사람은 완벽한 사람이 아니라 떳떳하게 부족한 사람, 인간관계는 주관적인 감정 안에서 이루어지는 것이기에 나의 인간관계는 내 주관적인 감과 감정이 우선, 숱한 경험을 통해 좌절하거나 오만해지지 않고 무던히 성장할 뿐.
따뜻한 위로의 말에 마음이 좀 편안해집니다. 여러 과정을 거쳐서... 결국 해내는 우리들.
좋은 일들이 기다리고 있을 것이다
... 시간은 그냥 지나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힘들게 버티고 버텨 지금 이 순간에 이른 것이다. 그런 시간을 지나왔으니 지금껏 해온 만큼 앞으로도 무엇이든 해낼 수 있을 것이다. 보란 듯이 좋은 일들이 기다리고 있을 것이다...
작가의 생각이 묻어있는 책을 읽고 나면 난 어떠한가 생각해보기도 합니다. <결국 해내면 그만이다>는 뭔가 더 콕콕 파고드는, 더 깊은 곳에 있는 무언가를 꺼내어 주는 듯한 느낌이 들었습니다. 마음 따뜻해지는 위로의 말을 들은 듯한 기분입니다.
'에세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별게 다 영감 - 다정한 눈으로 세상을 바라보자 (0) | 2025.09.13 |
---|---|
인생의 마지막 순간에서 - 누구에게나 찾아올 인생의 마지막 순간 (0) | 2025.09.11 |
먹고 산다는 것에 대하여 이나가키 에미코 간단한 집밥 (0) | 2025.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