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에 글을 쓰면서 찾아 읽어보게 되는 분야의 책들이 있습니다. 어떤 소재를 찾아야 하고, 어떻게 글을 써야 하는지에 관한 것들 말이죠. 제목이 눈에 띄어 읽어 본 책, 뭐가 그렇게 영감을 줄까 궁금했던 책, <별게 다 영감>입니다.
별게 다 영감
별게 다 영감 - 어느 마케터의 아카이브
이승희 지음
발행 2021년 12월 / 북스톤
아이디어와 콘텐츠가 넘쳐나는 세상, 나에게 필요한 콘텐츠를 찾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일상생활이나 여행을 통해 주변의 것들을 새롭게 보고 받아들이며 자신만의 콘텐츠를 위해 매일을 기록한다는 저자. 세상의 모든 것을 세심하게, 그리고 다정한 눈빛으로 관찰함을 느낄 수 있었던 책입니다.
<별게 다 영감>으로 다시 한번 생각해 보게 된 것들
'일상의 태도가 배는 일'
'우리가 행하는 선악은 없어지는 게 아니라 반드시 어떤 인상이나 힘을 남긴다.'
사람의 인상은 나이가 들면서 만들어지는 것 같습니다. 그 사람이 하는 생각과 느끼는 감정이 고스란히 얼굴에 켜켜이 쌓여 인상이 만들어지는 것 아닐까요. 그래서 순간순간 나도 모르게 인상을 쓰는 표정을 짓게 되면 흠칫하게 됩니다. 그냥 가만히 있어도 그 표정이 고스란히 얼굴에 남게 될까 봐요.
'두려움은 하고 싶은 마음'
무언가를 하면서 '두렵다', '하기 겁난다'라는 생각이 든다면, 그건 그 일을 하기 싫어하기 때문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했었습니다. 그런데 저자는 '두렵다'는 건 무언가를 하고 싶다는 증거, 무언가를 잘하고 싶다는 증거라고 말합니다. 이 부분을 읽고 두려움은 '그저 싫은 감정', 그게 다가 아니구나를 느끼게 되었습니다. 두려워하는 감정은 뭔가를 잘하고 싶은 마음이 커서 생긴다는 걸 말이죠. 부정적인 감정은 항상 부정적인 생각과 연결된다고만 생각했었던 것 같네요. 생각이 그냥 획일적이었습니다.
'이것도 나, 저것도 나'
사람은 하나지만 역할은 다 다름을 생각해 봅니다. 자식으로서, 부모로서, 직장인으로서, 친구로서... 하나의 역할만 있는 것이 아니니까 그때그때 상황에 맞게 나를 변화시켜 가는 게 맞겠죠? 다중인격(?)이기 때문이 아니라 상대에 따라 장소에 따라 나를 맞춰가야 하는 것 같습니다. 있는 그대로의 나를 사랑해 주기. 자신에게 친절해야 함을 다시 한번 느끼게 됩니다.
'글은 남고 말은 증발한다'
그래서 글은 더 신중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기록으로 남긴 글은 그 순간에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계속 살아있는 거니까요.
'내가 직접 해본 다음에는 그 얘기를 함부로 못하겠어요'
유 퀴즈에 출연했던 어느 PD의 이야기라고 합니다. 만드는 사람의 입장이 되어보면 그 어떤 것도 쉽게 평가할 수가 없다는 거죠. 사용한 물건의 후기를 쓰거나, 영화를 보거나, 어느 장소에 가본 후기를 말할 때, 전 이상하게 그 경험의 좋은 점 위주로 이야기하는 편입니다. 싫었던 부분이 전혀 없지는 않았어도 왠지 그 부분의 비중은 크게 두지 않게 되더라고요. 어떤 것을 평가한다는 자체가 익숙하지 않기 때문인지, 아니면 어떤 것을 평가할 주관이 없어서인지... 스스로 고민 아닌 고민을 한 적도 있었는데, 이 글을 읽고 나니 막연하게 그것을 직접 해본 사람의 입장이 되어 생각하려 했던 것은 아닐까... 하고 끼워 맞춰 봅니다. 직접 해보지 않고는 쉽다, 어렵다, 좋다, 나쁘다, 아무것도 장담할 수 없으니까요. 무언가를 너무 쉽게 평가하지는 말아야지 싶습니다.
'각자의 워라밸을 찾아서'
생각이란 하기 나름. '워라밸'이라 하면 모두들 하루 단위 워라밸만을 생각할 것 같습니다. '이번 달은 일에 집중해야 할 시기니 야근쯤은 문제없어', '이번에는 휴가를 좀 길게 쓸 수 있으니 여유 있는 시간을 많이 보낼 수 있을 것 같아.'처럼 워라밸을 하루 단위가 아닌 '거시적인 관점'에서 생각해 보면 어떨지 전 한 번도 생각해 본 적이 없네요.
하루 정시에 퇴근 못했다고 워라밸이 무너진 삶은 아니며, 스스로 삶의 밸런스를 어떻게 맞춰나가야 할지 생각해 보는 현명한 삶을 살아가야 할 것 같습니다.
'네 인생은 편집본, 내 삶은 원본'
SNS가 발달하면서 사람들의 생활을 들여다볼 수 있는 기회(?)가 많이 생겼죠. 모두들 좋은 곳을 가고, 좋은 음식을 먹고, 좋은 경험을 하는 것 같이 보이는 게 사실입니다. 하지만 그들 역시 고민, 걱정, 스트레스로 피곤한 삶을 사는 현대인들임을 생각해 보면 네 인생은 편집본, 내 삶은 원본인 게 맞다 싶습니다. 다른 사람의 하이라이트 장면과 나의 비하인드 장면을 비교하며 너무 괴로워하지 말자고요.
다정한 눈으로 세상을 바라보자
저자는 간판 하나, 메뉴판 하나 허투루 보지 않고 그 안에서 저자만의 의미를 찾는 것 같았습니다.
모든 게 그런 것 같아요. 사람마다 생각과 감정이 다르니 같은 것을 봐도 표현하는 내용이나 방식도 달라지죠. 똑같은 것을 봐도 그 안에서 나만의 의미를 찾고, 나만의 이야기를 찾으면 삶이 더 풍성해지지 않을까… 보고 듣는 모든 것에 깊이를 두고 생각을 넓혀야겠다는 마음이 듭니다. 애정을 갖고 사물을 바라보면 없던 표현력도 생기고 이야깃거리도 무궁무진할 것 같습니다.
'에세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생의 마지막 순간에서 - 누구에게나 찾아올 인생의 마지막 순간 (0) | 2025.09.11 |
---|---|
먹고 산다는 것에 대하여 이나가키 에미코 간단한 집밥 (0) | 2025.09.09 |
결국 해내면 그만이다 (2) | 2025.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