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문

아이의 손을 놓지 마라 부모는 아이의 베이스 캠프

by bignote 2025. 9. 27.

부모로서 아이를 잘 키운다는 것은 참 중요하고도 어려운 일입니다. <아이의 손을 놓지 마라>는 양육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부모들에게 아이와의 애착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말하고 있는데요. 사회성을 이유로 아이를 너무 일찍 떼어내지 않도록 경고합니다.

 

아이의 손을 놓지 마라 

아이의-손을-놓지-마라-책-앞표지-엄마가-아이를-꼭-끌어안고-있는-모습

아이의 손을 놓지 마라

Hold on to Your Kids

고든 뉴펠드 · 가보 마테 지음 / 김현아 옮김

발행 2018년 1월 / 북라인

 

저자 고든 뉴펠드는 아동 발달 분야에서 국제적인 명성을 얻고 있는 캐나다 심리학자이고, 가보 마테는 스트레스와 심신 의학, ADHD, 육아, 중독 분야의 권위자인 캐나다 의사입니다.

 

'사회성과 독립성을 이유로 아이를 너무 일찍 냉혹하고 경쟁적인 또래들의 세계로 내모는 부모들에게 울리는 경종'

책 표지에 쓰여 있는 글입니다. 이 책이 세상에 나온 이유죠. 또래와의 사회성을 키우기보다 부모와의 애착이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는 겁니다.

 

부모와 자녀 - 애착의 중요성

애착은 수많은 육아서에서 많이 다루어지는 주제입니다. 이 책에서도 부모와 자녀 사이의 애착 관계에 초점을 두고 있는데요. 육아의 비결은 부모가 아이에게 '무엇을 하는가'보다 부모가 아이에게 '어떤 존재인가'에 있다고 말합니다. 어려서부터 부모와 애착 관계가 잘 형성되어 있는 아이는 커가면서 부모에게 정서적 친밀감, 심리적 친밀감을 느끼게 된다는 겁니다.

 

또래로 향하는 아이들

아이에게는 필요할 때까지 부모와의 애착 관계가 지속되어야 하는데, 요즘에는 양육자에 대한 애착이 사라지면서 그 자리를 또래들이 대신하고 있습니다. 이런 현상은 사회적 변화에 그 원인이 있다고 말하는데요.

 

핵가족이 당연시되고 아이들은 태어나 얼마 안 된 때부터 보육시설에서 여러 또래들과 함께하기 때문에 아이들을 이끌어줄 수 있는 주변 어른들과의 깊은 상호작용이 부족하다는 겁니다.

 

어른들은 더 이상 아이들을 통제하거나, 가르치거나, 성숙한 사람으로의 성장을 도울 수 없고, 아이들의 시선은 주변 또래들을 향하게 되어 (또래 지향성) 미성숙한 아이들을 이끄는 건 똑같이 미성숙한 또래들이라고 말합니다.

 

이 책은 또래가 아닌 '또래 지향성'에 문제점이 있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또래는 부모의 자리를 대신해서 아이들을 성숙, 성장, 발전시킬 수 없다는 건데요. 무조건적인 사랑을 주고, 아이들의 실수를 너그러운 마음으로 바라봐주는 일을 또래가 할 수는 없겠죠.

 

아이의 사회성과 독립성을 위한 육아

이 책에서는 성숙을 촉진하는 열쇠는 아이의 애착 욕구를 채워 주는 것이라고 말합니다. 독립성을 키우려면 먼저 의존하도록 해야 하고, 개별화를 촉진하려면 먼저 소속감과 동질감을 주어야 한다는 거죠. 아이의 독립성은 부모가 부모의 역할을 다했을 때, 아이가 혼자 설 수 있을 때여야 한다고 말합니다.

 

아이와 애착을 형성하고 유지하려면 필요한 것들

아이가 잘못했을 때만 아이에게 시선을 돌리지 말고 아이와 아이의 공간을 항상 따뜻한 눈으로 바라보기

안아 주기, 함께 하기, 어떤 행동을 해서만이 아니라 아이의 존재 자체에 기쁨 표현하기

아이에게 부모는 믿고, 의지하고, 기댈 수 있는 존재임을 알게 하기  

아이가 방향을 잘 잡을 수 있도록 아이의 나침반이 되어 주기

 

부모는 아이의 베이스캠프

아이들은 커가면서 부모와 함께하는 시간이 점점 줄어들게 됩니다. 그런 시기가 오기 전에 아이와의 애착관계를 잘 형성해야 할 것 같습니다. 나중에 아이가 커서 좌절을 겪고 실패를 경험하더라도 다시 일어설 수 있는 힘이 되는 건 자신을 사랑하는 부모와 가족이 있기 때문에, 건강한 가족 안에서 올바른 자아로 잘 성장했기 때문 아닐까요. 언제라도 자신을 믿고 응원해 주는 부모가 뒤에 있다는 사실은 아이들에게 큰 힘이 될 것 같습니다. 부모는 아이의 베이스캠프가 되어야 할 것 같아요.

 

또래 친구들과 어울리며 사회성을 키우는 것도 중요합니다. 하지만 그보다 우선시되어야 하는 게 부모와의 애착 관계 형성이라는 데에 공감합니다. 부모와 주변 어른들의 사랑을 충분히 받고 이해와 배려로 큰 아이라면, 존재 자체의 소중함과 기쁨을 누릴 수 있는 아이라면, 때가 되었을 때 다른 사람들과의 소통도 원활하게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